반응형

부동산 R114에 따르면 2023년 재개발 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한 분양물량은

122개 단지 총 12만6,053가구로 2019년 (101개 단지 10만 1,794가구)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은 물량이 쏟아질 예정이다.

이처럼 정비사업 물량이 크게 늘어난 원인은

저층 주거지에 대한 재개발 사업 (71개 단지, 90,449가구 분양 예정) 공급 효과에 기인한다.

현재 정부가 도심 정비사업에 대한 제도 개선과 고층개발을 허용하는 추세인 만큼,

공급 확대 효과가 상대적으로 뛰어난 재개발 사업지들을 중심으로 정비사업 활성화 기대감이 높은 상황이다.

2023년 예정된 재개발 분양 사업지를 지역 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상당수는 경기도 일대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전체 24개 단지에서 총 34,732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산성구역주택재개발(3,372가구) △광명시 광명동 광명자이더샵포레나(3,585가구) △광명시 광명동 베르몬트로광명(3,344가구) △구리시 수택동 e편한세상수택현장(3,050가구) 등이 3,000가구 규모 이상의 대단지로 확인된다.

 

서울에서는 전체 16개 단지에서 총 16,356가구가 나온다. 동대문구 이문동에 위치한 △이문아이파크자이(4,321가구) △래미안라그란데(3,069가구) 등의 규모가 상당한 수준이다. 부산에서는 남구 대연동에 위치한 디아이엘(4,488가구)의 단지 규모가 상당한 수준이다.

 

현재 서울에서 분양되는 아파트의 80~90% 정도가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되고 있다. 즉 유휴 토지가 부족한 도심 지역들은 정비사업을 통한 공급량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건설사 입장에서는 수도권과 부산 등 기반시설이 양호한 도심 핵심지가 사업 추진 리스크가 덜하기 때문이다. 특히 재개발 사업은 저층 주거지가 많아 지자체가 요구하는 양적인 주택공급 효과가 큰 만큼 건설사들도 고밀화가 가능한 재개발 사업에 대한 선별 수주를 통해 시장 침체기에 대비할 전망이다.

반응형

 

2023년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공공주택으로 LH공사와 SH공사에서 공급하는 공공분양주택과 공공임대주택, 장기전세주택과 국민임대주택, 신혼희망타운과 행복주택, 영구임대주택 등의 입주자격 중에서 소득기준을 적용하는 기준이 됩니다. 보건복지부에서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득기준이 되는 기준중위 소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1.2023년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100% 기준 금액

 

가구원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소득100% 3,353,884원  5,505,914원  6,718,198원 7,662,056원  8,040,492원  8,701,639원

2023년도 귀속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100% 기준 금액은 1인 가구는 월 3,353,884원, 2인 가구는 월 5,505,914원, 3인 가구는 월 6,718,198원, 4인 가구는 월 7,662,056원, 5인 가구는 월 8,040,492원, 6인 가구 월 8,701,639원으로, 해당 소득 이하 금액이 공공임대주택과 행복주택, 장기전세주택과 국민임대주택 2순위 자격의 기준 금액이 되는 소득 입니다.

 

2. 2023년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50% 금액

가구원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소득 50%  1,676,942원 2,752,957원 3,359,099원 3,811,028원  4,020,246원 4,350,820원

2023년도 귀속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50% 기준 금액은 1인 가구 1,676,942원, 2인 가구 2,752,957원, 3인 가구 3,359,099원, 4인 가구 3,811,028원, 5인 가구 4,020,246원, 6인 가구 4,350,820원으로, 월평균 소득 50% 이하 금액(1인가구 70%, 2인가구 60%)은 영구임대주택과 국민임대주택 전용면적 50㎡ 미만 주택 공급 시 1순위 자격의 소득기준 금액 입니다.

 

3.2023년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70% 금액

가구원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소득70% 2,347,719원  3,854,139원 4,702,739원  5,335,439원  5,628,344원  6,091,147원

2023년도 귀속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70% 기준 금액은 1인 가구 2,347,719원, 2인 가구 3,854,139원, 3인 가구 4,702,739원, 4인 가구 5,335,439원, 5인 가구 5,628,344원, 6인 가구 6,091,147원으로, 월평균소득 70% 이하 금액은 전용면적 60㎡ 이하 국민임대주택 1순위 자격과 전용면적 85㎡ 이하 장기전세 주택 우선공급 시 소득기준 금액 입니다.

 

4.2023년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100% 기준 월평균소득 연봉환산 금액

가구원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연봉환산금액  40,246,608원 66,070,968원 80,618,376원 91,944,672원 96,485,904원 104,419,668원

2023년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100% 기준 금액을 연봉으로 환산하면 1인 가구 40,246,608원 ,2인 가구 66,070,968원, 3인 가구 80,618,376원, 4인 가구 91,944,672원, 5인 가구 96,485,904원, 6인 가구 104,419,668원 입니다. 참고로, 공공주택 입주 시 적용되는 가구원수는 외국인 배우자와 임신중인 경우 태아 포함 한 세대구성원 전원을 포함하고, 월평균 소득 금액은 세전금액으로서 세대구성원 전원의 월평균소득액을 모두 합산한 금액 입니다.

반응형

 

3월 넷째 주 분양캘린더

 

정읍푸르지오더퍼스트전국 707가구 분양예정

부동산R114에 따르면 3 넷째 주에는 전국 1개 단지에서 총 707가구(일반분양 707가구)가 분양을 시작한다. 전북 정읍시 농소동 정읍푸르지오더퍼스트에서 청약을 진행한다. 모델하우스는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 휘경자이디센시아’, 인천 서구 오류동 왕길역금호어울림에듀그린2곳에서 오픈 예정이다.

 

금주의 주요 분양단지

전북 정읍시 농소동 ‘정읍푸르지오더퍼스트’

대우건설은 전북 정읍시 농소동 47-34번지 일원에 ‘정읍푸르지오더퍼스트’를 분양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9층, 6개동, 전용면적 84 · 110㎡, 총 707가구 규모다. 반경 1km 정도 거리에 정읍역과 호남고속도로 정읍IC, 고속버스터미널이 위치한다. 대형마트와 종합병원, 관공서 등이 단지와 인접해 있고 정읍북초, 수성초, 정일중, 정읍제일고, 서영여고 등의 교육시설도 가깝다. 정읍천을 비롯해, 수성동 근린공원, 두락봉 등 녹지가 풍부해 쾌적하다.

금주의 모델하우스 오픈단지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 휘경자이디센시아

GS건설은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 172번지 일원에 휘경3구역을 재개발해 짓는 휘경자이디센시아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3~지상 최고 35, 14개동, 1,806가구로 조성되며 이 중 전용면적 39~84, 700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지하철 1호선 · 경의중앙선 · 경춘선이 지나는 회기역과 1호선 외대앞역을 이용할 수 있는 더블 역세권이다. 고려대, 경희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등 주요 대학들이 주변에 위치한다. 근거리에 대형 편의시설, 의료시설이 자리해 생활이 편리하다.

반응형

서울 내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있습니다.

그 중 강남에선 압구정아파트지구가 곧 만료일인데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압구정아파트지구

1.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일정 규모 이상의 토지를 매매할 때 관할 기초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도다.

허가없이 계약을 체결하면 2년 이하 징역 또는 토지가격 30% 상당의 벌금형을 받게 된다.

특히 주거용 토지는 매수자가 2년간 실거주용으로 이용해야 하므로 '갭투자'가 불가능하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은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제 10조에 따라

‘토지의 투기적인 거래가 성행하거나 지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지역과 그러한 우려가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2. 압구정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강남구 내 토지거래허가구역은 5개 지역 10개 동(압구정·대치·삼성·청담·일원·개포·세곡·수서·율현·자곡)이며, 구 전체 면적의 41.8% (16.58㎢)에 달한다. 이 가운데 압구정동 일대 114만9476㎡를 대상으로 한 압구정 아파트지구는 2021년 4월 27일 지정됐으며 한차례 연장돼 올해 4월 26일 만료될 예정이다. 서울시가 다시 재지정할 경우 기간을 늘어날 수 있다.

반응형

 

최근 아파트 가격의 하락폭이 축소와 확대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 매매-전세 하락폭은 다시 커졌구요.

급매물 소진 후 거래 는 주춤합니다.

한동안 박스권 내 하락이 전망됩니다.

서울 수도권 아파트 시황

 

수도권 아파트값이 한 주 만에 다시 하락폭을 키웠습니다. 규제 완화에 따른 시장 회복 기대감과 경기 둔화 등으로 추가 하락 우려가 맞서면서 아파트값 하락폭 축소와 확대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저점 대비 소폭 오른 가격에 계약된 사례가 나타났지만, 여전히 집값이 높다는 인식이 우세한 만큼 급매물 거래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급매물 소진 후 국지적으로 가격이 반짝 오르면 거래가 다시 주춤해지는 양상이 지속되면서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한동안 박스권 내 하락 장세를 유지할 전망입니다.

 

금주 서울 아파트값은 0.07% 하락했습니다. 재건축이 0.08%, 일반 아파트가 0.06% 내리면서 전주 대비 낙폭이 확대됐습니다. 신도시와 경기ㆍ인천은 모두 0.07% 떨어졌습니다. 전세시장은 월세 전환과 저가 매물 거래에만 수요가 유입되면서 서울이 0.11% 떨어졌습니다. 다만 지난해 말에 비하면 봄 이사철을 맞아 낙폭이 둔화되는 추세입니다. 신도시와 경기ㆍ인천은 0.09% 하락했습니다.

+ Recent posts